본문 바로가기

맞춤법7

부딪히다 부딪치다 정확한 구분과 사용법

"부딪히다 부딪치다 정확한 구분과 사용법" 한국어 맞춤법 중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부딪히다'와 '부딪치다'입니다.발음이 비슷하여 많은 분들이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 두 단어는 각각 피동형과 능동형의 차이를 가지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올바른 한국어 사용을 위해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제 ‘부딪히다’와 ‘부딪치다’의 차이점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딪히다와 부딪치다의 차이부딪히다의 의미와 사용‘부딪히다’는 기본 동사인 ‘부딪다’의 피동형입니다.이는 주체의 의지와 관계없이 외부의 상황이나 물체와 접촉하거나 부딪치는 것을 나타내는 수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의도치 않게 어떤 상황이나 물체와 충돌하거나 맞닥뜨리는 경우에 사용.. 생활, 쇼핑정보 2024. 11. 9.

'틈틈이'와 '틈틈히' 맞춤법 어떤 것이 맞는 말?

'틈틈이'와 '틈틈히' 맞춤법 어떤 것이 맞는 말? '틈틈이'와 '틈틈히'는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올바른 표현은 '틈틈이'입니다. '틈틈이'는 '틈이 날 때마다', '시간이 있을 때마다'라는 뜻을 가진 부사로, 시간을 쪼개어 무언가를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반면 '틈틈히'는 국어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틈틈히 뜨개질' 이런 표현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 국립국어원 표중국어대사전 👉    올바른 표현: 틈틈이부사에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는 경우에,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틈틈이'로 적습니다.'틈틈이'는 부사로서 시간이나 기회를 이용해 무언가를 반복적으로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틈틈이 책을 읽다.. 생활, 쇼핑정보 2024. 10. 3.

건드리다 건들이다 - 헷갈리는 맞춤법 알아보기

"건드리다 건들이다 - 헷갈리는 맞춤법 알아보기" 맞춤법을 정확히 사용하는 것은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특히 우리말은 발음과 표기의 유사성 때문에 쉽게 혼동될 수 있는 단어들이 많습니다.오늘은 '건드리다'와 '건들이다'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드리다'의 의미와 사용법'건드리다'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동사로, 주로 손이나 물체를 가볍게 만지거나 접촉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사전적 정의조금 움직일 만큼 손으로 만지거나 무엇으로 대다.상대를 자극하는 말이나 행동으로 마음을 상하게 하거나 기분을 나쁘게 만들다.부녀자를 꾀어 육체적인 관계를 맺다.어떤 일에 손을 대다.예문"그 아이들은 매일 내 딸을 건드렸다.""그를 툭 건드리니 픽 쓰러졌다.""내가 건드리는 일은 모두.. 생활, 쇼핑정보 2024. 7. 10.

한글 맞춤법검사기 추천 - 구글, 네이버, 부산대,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검사기 추천 - 구글, 네이버, 부산대, 국립국어원" 맞춤법은 글쓰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학교 과제나 회사의 보고서, 제안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맞춤법 검사기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잘못된 맞춤법은 독자에게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다행히도 현대 기술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맞춤법 검사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네이버, 부산대학교,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를 소개하겠습니다.   구글 맞춤법 검사기구글 맞춤법 검사기는 구글 문서 도구에 내장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고 실시간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국어 전문 용어나 특수한 단어에 대한 검사 정확도가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그래도 무료로 .. IT스토리/인터넷 이야기 2024. 6. 19.

뵈요 봬요, 뵐게요 봴게요 맞춤법 구분하는 방법

"뵈요 봬요, 뵐게요 봴게요 맞춤법 구분하는 방법"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자주 "이따가 뵈요", "내일 뵙겠습니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혹시 "뵈요"와 "봬요"의 차이점을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오늘은 이 두 표현의 맞춤법과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고, 상황에 맞는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뵈요" vs "봬요":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답 : "이따가 봬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뵈다"는 "보이다"의 준말로 "윗사람을 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뵈" 자체는 어미가 붙지 않은 불완전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뵈요"보다는 "뵈어요"가 맞는 표현이며, "뵈어요"의 준말은 "봬요"입니다. 예시 ❌ 오늘 저녁에 뵈요. → ⭕️ 오늘 저녁에 봬요. ❌ 선생.. 생활, 쇼핑정보 2024. 2. 6.

바래 바라 맞는 표현은? 맞춤법 둘 다 맞는 거로 할 순 없나?

"바래 바라 맞는 표현은? 맞춤법 둘 다 맞는 거로 할 순 없나?" '네가 행복하길 바라' 표준어에 따르면 '바라'라는 표현이 맞는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지 않고, '네가 행복하길 바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표준어의 정의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표준어 규정에는 정의하고 있습니다. ‘교양 있는 사람들’, ‘현대’, ‘서울말’이라는 세가지의 원칙을 따라야 하며, 교양 있는 사람이라도 비어, 속어, 은어 등을 쓸 수는 있으므로 사회적으로 공감대를 얻으면 표준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발음 변화의 정도가 심하거나 발음이 변한 지 오래되어 '대부분의 교양 있는 서울 지역 사람들'이 바뀐 발음으로 말을 하는 경우에는 표준어를 .. 생활, 쇼핑정보 2023. 2. 16.

내일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틀리기 쉬운 맞춤법 구분하기

"내일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틀리기 쉬운 맞춤법 구분하기" 퇴근할 때 자주 하는 인삿말이 내일 내일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입니다. 이 중 정확한 맞춤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뵙겠습니다 vs 봽겠습니다 정답부터 얘기하면 '뵙겠습니다'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말로 인사하는 경우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상관이 없겠지만, 카톡이나 문자메시지 등으로 인사를 할 경우에는 맞춤법에 맞춰 인사를 하는 것이 좋겠지요? 심지어 일부 폰트에서는 '봽'이라는 글자가 아예 없기도 합니다. 잘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에 폰트 제작을 하지 않아서이기 때문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틀리기 쉬운 맞춤법 구분하기" '뵙겠습니다'가 올바른 표현인 이유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라는 뜻의 동사는 .. 생활, 쇼핑정보 2022.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