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국어원2

한글 맞춤법검사기 추천 - 구글, 네이버, 부산대,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검사기 추천 - 구글, 네이버, 부산대, 국립국어원" 맞춤법은 글쓰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학교 과제나 회사의 보고서, 제안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맞춤법 검사기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잘못된 맞춤법은 독자에게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다행히도 현대 기술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맞춤법 검사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네이버, 부산대학교,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를 소개하겠습니다.   구글 맞춤법 검사기구글 맞춤법 검사기는 구글 문서 도구에 내장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고 실시간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국어 전문 용어나 특수한 단어에 대한 검사 정확도가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그래도 무료로 .. IT스토리/인터넷 이야기 2024. 6. 19.

바래 바라 맞는 표현은? 맞춤법 둘 다 맞는 거로 할 순 없나?

"바래 바라 맞는 표현은? 맞춤법 둘 다 맞는 거로 할 순 없나?" '네가 행복하길 바라' 표준어에 따르면 '바라'라는 표현이 맞는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지 않고, '네가 행복하길 바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표준어의 정의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표준어 규정에는 정의하고 있습니다. ‘교양 있는 사람들’, ‘현대’, ‘서울말’이라는 세가지의 원칙을 따라야 하며, 교양 있는 사람이라도 비어, 속어, 은어 등을 쓸 수는 있으므로 사회적으로 공감대를 얻으면 표준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발음 변화의 정도가 심하거나 발음이 변한 지 오래되어 '대부분의 교양 있는 서울 지역 사람들'이 바뀐 발음으로 말을 하는 경우에는 표준어를 .. 생활, 쇼핑정보 2023.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