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사이트5 한메일 바로가기 hanmail.net - 다음 한메일 "한메일 바로가기 hanmail.net - 다음 한메일" 한메일은 다음에서 서비스한 무료 웹메일 서비스입니다. 2011년 5월까지 '한메일'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웹메일 서비스로 우리나라 IT산업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한메일 바로가기 링크 대한민국의 이메일서비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han)으로 시작하는 메일서비스를 뜻하는 hanmail.net으로 도메인이 정해졌지만,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초기에는 미국 MS가 인수한 hotmail.com과 발음이 비슷해서 '쩜넷'을 강조하여 부르기도 했습니다. https://mail.daum.net/ Daum Mail 메일 검색 검색 메일 본문 받은메일함 목록 mail.daum.net "한메일 바로가기 .. IT스토리/인터넷 이야기 2023. 5. 10. 더보기 ›› 티스토리 사이트맵(sitemap) 만들기 - 웹마스터 도구 등록 "티스토리 사이트맵(sitemap) 만들기 - 웹마스터 도구 등록" 네이버나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블로그의 포스팅이 원활하게 검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맵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거치는것이 좋습니다. 온라인에서 손쉽게 사이트맵(sitemap)을 생성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등 블로그의 카테고리를 정리하거나, 수정을 하였다면 다시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최신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맵은 보통 *.XML 파일로 제출을 합니다. 여러 사이트에서 사이트맵을 만들수 있지만 아래 링크의 사이트를 통해 만들도록 하겠습니다.링크를 클릭하시면 사이트로 이동을 합니다. http://www.web-site-map.com Creative retrieve XML Sitemap 항목에 본인의.. IT스토리/애드센스, 티스토리 2017. 12. 19. 더보기 ›› 개인정보 보호/해킹 방지를 위한 네이버 OTP 로그인 설정 방법 "개인정보 보호/해킹 방지를 위한 네이버 OTP 로그인 설정 방법" 생활전반에 인터넷이 밀접하게 닿아있는 요즘 편리함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네이버는 그 규모와 함께 많은 가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로그인활동기록 등을 조회 해 보면 중국등 해외는 물론 다른지역에서 로그인시도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mail, 연락처 정보, 주소, 온라인결제 정보 등 다양한 개인정보는 물론 카페, 블로그정보까지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시로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OTP등의 보안조치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계정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OTP(One Time Password)란?.. IT스토리/인터넷 이야기 2017. 10. 16. 더보기 ›› SOGOU 입력기를 통한 컴퓨터(PC) 중국어 입력하기 "SOGOU 입력기를 통한 컴퓨터(PC) 중국어 입력하기" 편집디자인이나, 웹디자인등을 할 경우 중국과의 교류로 인해 중국어 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중국어 입력은 영문으로 중국어 발음을 입력하면 커서 아래에 그에 해당하는 중국어한자가 뜨는식으로 입력하는 한어병음법이 사용됩니다. 발음이나, 부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우리가 가지고 있는 키보드에는 한자가 없죠.. ^^ 역시 가장 편리한 입력 방법은 네이버 중국어사전 ( http://cndic.naver.com )을 이용하는 방법 입니다. 별다른 프로그램 설치 없이 병음이나 부수, 필기입력으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그 해석까지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한가지 방법은 구글번역 앱을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최신 업.. IT스토리/유틸, 어플 소개 2016. 10. 5. 더보기 ››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OTP 로그인 비교해 보기(네이버, 다음, 구글)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OTP 로그인 비교해 보기(네이버, 다음, 구글)" OTP (One-Time Password) 일회용 비밀번호(영어: One-Time Password; OTP)는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비밀번호이다. OTP 이외의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는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를 이용한 방식, 추가적인 질의·응답을 이용한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부분 한 번 인증값이 유출되고 나면 인증값을 바꾸기 전에는 해킹을 당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 보안 카드가 있지만, 이 역시 정해진 수십여 개의 번호를 사용할 뿐이므로 여전히 유출에 의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 번 생성되면 그 인증값이 임시적으로 한 번에 한해서만 유효한 OTP 방식을 도입.. IT스토리/인터넷 이야기 2016. 9. 6.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