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동자3

회식은 근로시간일까? (feat. 회식 수당)

"회식은 근로시간일까? (feat. 회식 수당)" 요즘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한다는 뜻인데 실제로도 일보다는 개인의 삶을 더 중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문화 특성상 여전히 잦은 야근과 회식자리가 남아있습니다. 근로시간의 정의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으면서 근로계약에 따른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즉,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 아래 둔 실제 구속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지휘·감독은 명시적인 것 뿐만 아니라 묵시적인 것까지 포함됩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 제3항) 근로시간으로 인정되는 경우 대기시간 -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있는 대기시간으로 자유로운 이용이 어려운 경우 워크숍·세미나 - 사.. 생활, 쇼핑정보 2022. 12. 2.

주4일제 공약 시행 하는 나라와 회사 가능성 찬반

"주4일제 공약 시행하는 나라와 회사 가능성 찬반" 우리나라는 2003년 국회에서 주 5일제와 관련된 법안이 통과되면서 주5일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주 5일제의 특징은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근무를 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평일에 8시간씩 5일은 근무하면 40시간이 채워지기 때문에, 토요일과 일요일은 근무하게 될 경우 대체휴일을 제공하거나 초과수당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또, 근로시간을 주에 12시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제도도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①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 생활, 쇼핑정보 2022. 2. 28.

임시공휴일이 아닌 선거일 근로자/직장인 투표시간 보장 투표권 행사

"임시공휴일이 아닌 선거일 근로자/직장인 투표시간 보장 투표권 행사"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대선이나 총선의 경우는 임시공휴일 지정이 되어 직장인/근로자들이 자유롭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 보장되지만, 이번 보궐선거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는 선거에는 임시공휴일 지정이 되지 않습니다. 공직선거법에는 아래와 같이 직장인/근로자가 고용주에게 투표시간을 보장하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러길 경우 고용주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공직선거법 공직선거법 제6조의2(다른 자에게 고용된 사람의 투표시간 보장) ① 다른 자에게 고용된 사람이 사전투표기간 및 선거일에 모두 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고용주에게 청구할 수 있다. ② 고용주는 제.. 생활, 쇼핑정보 2021.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