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한미군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역사와 의미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역사와 의미" 1953년 10월 1일, 한국과 미국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조약은 1954년 11월 18일 발효되었으며, 대한민국의 방위를 위해 미국과 한국이 맺은 중요한 군사 동맹입니다. 이 조약은 한국전쟁 이후 한국이 외부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체결되었으며, 이는 한국이 체결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사 동맹 조약이기도 합니다. 1.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배경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0년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곧 국제전으로 확대되었으며, 미군을 포함한 유엔군이 한국을 돕기 위해 참전했습니다. 하지만 전쟁은 오랜 기간 동안 교착상태에 빠졌고, 1951년 6월부터 휴전회담.. 뉴스와 이슈 2024. 10. 16.

문재인 대한민국 주적 발언 북한을 주적이라고 할 수 없다?

"문재인 대한민국 주적 발언 북한을 주적이라고 할 수 없다?" 19일 대선 2차 TV토론에서 유승민후보는 문재인후보에게'북한이 우리 주적입니까?' 라고 물었습니다.이에 문재인 후보는 '대통령으로서는 (북한을 주적으로 규정하는것이)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유승민후보는 '우리나라 국방부의 국방백서에 라 규정되어있는데 국군 통수권자가 북한군을 '주적'이라고 못하는게 말이 되겠습니까?' 라며 말을 세웠습니다. 문제인 후보는 거듭 '대통령이 될 사람이 해야 될 발언은 아니라고 봅니다'라고 재가 입장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국방부는 20일 브리핑을 통해 '2016년 국방백서에 이라고 표현되어 있으며, 여기에 말하는 '우리의 적'은 '주적'과 사실상 같은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201.. 뉴스와 이슈 2017. 4. 21.